"각인이 습관을 만들고 습관이 당신이라는 사람을 만든다"라는 말이 있어요. 좋은 습관이 형성되면 삶의 질이 생각 이상으로 상승합니다. 그런데 습관도 기르는 방법이 있어요. 내가 형성하고 싶은 습관이 있다면 아래 제시된 방법을 따라 해 보세요. 보다 쉽게 습관을 형성하실 수 있을 거예요.
습관을 형성하는 과학적인 방법
1. 행동습관을 바꾸기전에 입력습관, 언어습관, 사고습관을 먼저 바꾼다.
뇌는 0.5초 만에 호불호를 결정한다. 그러므로 일단 "네 해보겠습니다."라고 긍정적으로 출력해서(말해서) 뇌가 부정적 기억을 탐색할 틈을 주지 않는다. 만능 문구를 만들어 순식간에 출력하면 좋다. 만능 문구로 좋은 말은 "네 해보겠습니다" "이건 기회야" "이런 행운이" "내 세상이 될 거야"와 같은 말이다. 어떤 사안이 발생하면 일단 이런 긍정적인 말로 받아쳐 보자.
2. 말의 의미를 변환하여 생각을 바꾼다.
예를 들자면 공부를 하기 싫어하는 아이에게는 '공부하자'라고 말하는 대신 '성장하자'라고 말하고, 다이어트 중이라서 케이크를 멀리해야 한다면 '케이크'를 지칭할 때는 '지방덩어리'로 바꿔 부르고, '게임'은 '시간낭비'로 변환하여 생각하자.
3. 만능 포즈와 미소로 뇌의 긍정적 힘을 강화한다.
화이팅! 하면서 주먹을 쥔다거나, 아자아자 외친다거나, 손뼉을 친다거나 하는 자신만의 긍정 포즈를 만들어 사용한다. 그리고 미소는 그 자체로 긍정적인 결과 도출에 도움을 준다. 미소를 지으면 뇌가 행복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웃는 연습을 많이 하도록 한다.
4. 잠자기 전 10분만 투자하면 상쾌한 아침을 맞을 수 있다.
5. 뇌를 설레게 할수록 습관은 더 견고해진다
진심으로 설렐만한 미래의 꿈을 그린다. 미래 연표와 미래일기로 더욱 설레게 한다
6. 뇌를 속여 확신 습관을 만든다.
뇌에 긍정적인 질문을 한다. 예를 들자면 나는 왜 이렇게 똑똑하지?라고 긍정적인 질문을 한다. 이런 질문에 뇌는 똑똑하다는 전제하에 똑똑한 이유를 찾게 된다.
그러면 <매일 운동하기> 습관을 위 방법에 적용해 볼까요.
1. 긍정 출력 : 좋아 운동해보자, 이건 기회야.
2. 말의 의미 변환 : 운동해야지 → 몸을 가뿐하게 해야지, 개운하게 해 볼까
3. 시작 전에 "화이팅! 운동시간!"이라고 외친다.
4. 잠자기 전 10분 투자 : 내일도 몸을 가뿐하게 해서 멋진 하루를 만들어야지.
5. 뇌를 설레게 하는 상상 : 운동해서 날씬한 몸매에 예쁜 옷을 입고 다니는 매력적인 여자, 자신감도 있고 활력 넘치는 에너자이저를 머릿속으로 그려본다. 3달 연속 주 3회 이상 1만 보 걷고 자신에게 좋은 운동화를 선물하는 상상을 한다.
6. 확신 습관 들이기 : 난 왜 이렇게 걷기를 잘하지? 난 왜 이렇게 요가를 잘하지?
<일찍일어나기> 습관들이기로 하나 더 적용해 볼까요?
1. 긍정 출력 : 좋아 일어일어날 수 있어, 이제부터 내 세상이 될 거야
2. 말의 의미 변환 : 일직 일어나야지 → 난 early bird야, 난 새벽의 파수꾼 수탉이야.
3. 눈이 뜨이면 "좋은 하루~~"라고 말한다.
4. 잠자기 전 10분 투자 : 내일 일찍 일어나려면 오늘 일찍 자야지. 내일도 노래하는 새처럼 하루를 시작할 거야.
5. 뇌를 설레게 하는 상상 : 일찍 일어나서 나만의 시간을 확보해서 하고 싶었던 일을 해내는 자랑스러운 내 모습을 상상하고 아무도 일어나지 않은 새벽의 정기를 상상하며 깨어있는 자신의 모습을 그려본다.
6. 확신 습관 들이기 : 난 새벽형 인간이야.
여러분도 형성하고 싶은 습관이 있다면 위 공식에 대입해서 생각을 바꾸어 보세요. 행동습관 형성은 먼저 입력습관, 언어습관, 사고습관을 바꾸는 것부터 시작됩니다.
참고도서 : 하루 5분 습관수업(요시이 마사시)
'교행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 화단에 심기 좋은 꽃 추천-맥문동, 송엽국, 섬백리향, 바늘꽃, 구름국화 (0) | 2023.08.16 |
---|---|
공사원가계산서 요율 (0) | 2023.07.03 |
숫자로 알아보는 계약서 작성의 모든 것(계약방법결정, 낙찰하한율, 인지세, 계약보증금, 지연배상금 ,하자보수보증금, 하자보증기간) (0) | 2023.03.06 |
하자보수 보증금 및 하자보수보증 기간 (0) | 2023.02.14 |
학교시설공사 착공 및 준공서류 (0) | 2023.02.14 |